위방시는 역사가 유구하다. 고고학에 의하면 위방시 경내에 각 시대의 고대문화유적지는 1800여개 있다. 그 중에 청주시 도원에서 처음으로 산동동부 북신문화유적를 발견했다. 수광시 변선왕에서 발굴된 용산문화고대성보의 규모가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물만큼 크다. 위성구 요관장에 있는 전형영산문화 유적지에서 출토된 유물은 해방전에 발굴한 성자야유적지의 유물보다 더 풍부하다. 이런 것으로 6000년 전에부터 우리 조상들이 이미 여기서 모여산다고 증명할 수 있다. 진나라는 전국에서 군현(郡縣)제도를 시행하다.위방시는 그 때에 교동(膠東), 임치(臨淄), 량야(瑯琊)군에 속했다. 서한 위방시는 청(青), 서(徐) 2개의 주자사부에서 관할되고. 서진, 동진과 16국시대 이 시대는 그 때에 후조(后趙), 전연(前燕), 전진(前秦), 후연(后燕)이 연이어 위방시를 차지하였다. 282년(서진태강[西晉太康]3년)에 청(青)주와 서(徐)주, 북해(北海)국과 락안(樂安)국, 성양(城陽)군과 동완(東莞)군에 속하었다. 남조송(南朝宋)은 현재위방시는 청(青)주와 서(徐)주. 북조위(北朝魏)가 현재 위방시는 청(青)주, 교(膠)주와 남청(南青)주. 수나라(隋) 위방시는 북해(北海)군, 고밀(高密)군과. 당나라시대/오대시대(唐代)위방시는 하남도(河南道), 청주(青州)와 밀주(密州)에 속하였다. 송(宋) 위방시는 경동동로(京東東路), 청주(青州), 위주(濰州)와 밀주(密州)에 속하였다. 금(金) 위방시는 산동동로(山東東路)에 속하고 익도부(益都府), 위주(濰州)와 밀주(密州)를 설치하었다. 원(元) 위방시는 중서성(中書省) 산동동서도선위사(山東東西道宣慰司)에 속하여 익도로(益都路)를 설치하였다. 명(明) 위방시 경내에 청주(青州)와 위주(濰州)가 있고 산동승선포정사사(山東承宣布政使司)에 속하였다. 청(清) 위방시는 청주(青州), 래주(萊州), 임주(沂州)에서 관할되고 산동성에 속하였다.
중화민국시대(中華民國時期) 국민정부초기에 행정제도는 청나라시대의 행정제도를 따르고 1913년(민국[民國]2년)에 부(府), 주(州)를 파기하고 성(省), 도(道), 현(縣) 3급 제도를 실행하였다. 유현(濰縣), 창읍(昌邑), 고밀(高密), 익도(益都), 수광(壽光), 창락(昌樂), 임구(臨朐), 안구(安丘)와 제성(諸城)이 교동도(膠東道)에 속하였다. 1925년(민국14년)에 위방시를 래교도(萊膠道)와 치청도(淄青道)에 속하여 유현(濰縣), 창읍(昌邑), 고밀(高密), 안구(安丘), 제성(諸城)과 창락(昌樂)이 래교도(萊膠道)에서 관할되고 수광(壽光), 익도(益都)와 임구(臨朐)는 치청도(淄青道)에서 관할되였다. 1927년(민국16년)에 도(道)가 파기되어 성(省)이 현(縣)을 직접 관할하고 지금 위방시는 전부 다 산동성(山東省)에 속하였다.
1948년 4월 27일에 유현이 해방되고 4월 29일에 유방특별시 설립되어 시청 주둔지는 위성(濰城)으로 하고 유현(濰縣), 동관(東關), 남관(南關), 북관(北關), 방자(坊子)와 망류(望留)구를 관할하였다. 1949년 6월에 유방특별시는 위방시로 이름을 바꾸고 산동성에게 직할되었다. 1948년 6월에 창위전구(昌濰專區)가 설립되어 주둔지는 창락(昌樂)으로 하고 창락(昌樂), 유현(濰縣), 안구(安丘), 수남(壽南)과 익임(益臨)을 관할하였다. 1948년 12월에 산동성에게 직할한 익도현(益都縣)이 창위전구(昌濰專區)에 속하게 되어 1949년 7월에 전구 주둔지는 익도(益都)로 옮겼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中國人民共和國建國以后) 1949년에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에 지방행정구역에 대해서 여러번 조정하였다. 지방행정은 성(省), 시(市), 현(縣) 3급이 있다. 1949년부터 1988년까지는 위방시에 창위전구(昌濰專區), 창위지구(昌濰地區), 유방지구(濰坊地區)와 위방시(濰坊市)가 차례로 설치되어 그 밑에 현이 있었다.
1950년 5월 25일에 창위전구(昌濰專區)의 주둔지는 익도(益都)에서 유방(濰坊)으로 옮겼다. 위방시(濰坊市) (현급), 창락(昌樂), 유현(濰縣), 위북(濰北), 창읍(昌邑), 창남(昌南), 안구(安丘), 구남(丘南), 회안(淮安), 수광(夀光), 수남(壽南), 익임(益臨), 익도(益都), 익수(益夀)와 임구(臨朐)를 관할하였다. 1950년에 위방시는 철폐당하고 1951년에 다시 설립되어 현급 도시로 창위전구(昌濰專區)에 속하였다.
1952년 7월에 익임(益臨), 익수(益夀)와 위안(濰安)을 철폐하였다. 1953년 7월 24일에 원래 치박전구(淄博專區) 관할한 임치현(臨淄縣)이 창위전구(昌濰專區)에게 관할하게 되어 위북(濰北), 구남(丘南)과 수남(壽南)을 철폐하였다. 그 때에 창락(昌樂), 유현(濰縣), 창읍(昌邑), 창남(昌南), 안구(安丘), 수광(夀光), 익도(益都), 임구(臨朐), 임치(臨淄)와 양각골직서구(羊角溝直署區)은 창위전구에게 관할되었다.
1955년 3월에 박산현(博山縣)이 치박시(淄博市)에서 창위전구(昌濰專區)로 속하게 되고 양각골직서구(羊角溝直屬區)가 철폐되어 수광현(夀光縣)에 편입되었다. 그 때에 창위전구(昌濰專區)는 위방시(濰坊市)(현급), 창읍(昌邑), 유현(濰縣), 창남(昌南), 수광(夀光), 창락(昌樂), 익도(益都), 임구(臨朐), 안구(安丘), 치박(淄博)과 박산(博山)을 관할하였다.
1956년 10월에 교주전구(膠州專區)가 철폐되어 관할한 교현(膠縣), 교남(膠南), 장마(藏馬), 오련(五蓮), 제성(諸城), 고밀(高密)와 래양전구(萊陽專區)에 속한 평도현(平度縣)이 다 창위전구(昌濰專區)에게 속하게 되었다. 그리고 장마현(藏馬縣)을 철폐하고 창남(昌南)이 창읍현(昌邑縣)에 편입되었다. 창위전구(昌濰專區)는 위방시(濰坊市)(현급), 익도(益都), 창읍(昌邑), 수광(夀光), 창락(昌樂), 임치(臨淄), 임구(臨朐), 안구(安丘), 제성(諸城), 고밀(高密), 오련(五蓮), 박산(博山), 교남(膠南), 평도(平度), 교현(膠縣)을 관할하였다.
1958년 10월에 유현(濰縣)이 위방시(현급)에 편입하고 박산(博山)은 치박전구(淄博專區)에 속하게 되어 임치(臨淄)는 익도현(益都縣)에 편입되고 교남(膠南)과 교현(膠縣)이 청도시(青島市)에 편입되었다. 창위전구(昌濰專區)는 위방시(濰坊市)(현급), 익도(益都), 창읍(昌邑), 밀(密), 안구(安丘), 제성(諸城), 오련(五蓮), 수광(夀光), 창락(昌樂), 임구(臨朐), 평도(平度)를 관할하였다.
1961년에 교남(膠南), 교현(膠縣), 임치(臨淄)와 유현(濰縣)이 창위전구에게 다시 속하게 되었다.
1967년 3월 13일에 창위전구(昌濰專區)가 창위지구(昌濰地區)로 이름을 바꾸고 위방시(濰坊市)(현급), 익도(益都), 창읍(昌邑), 고밀(高密), 제성(諸城), 창락(昌樂), 임구(臨朐), 수광(夀光), 안구(安丘), 유현(濰縣), 오련(五蓮), 평도(平度), 교현(膠縣), 교남(膠南)과 임치(臨淄)를 관할하였다.
1969년 12월에 임치현(臨淄縣)이 치박시(淄博市)에게 속하게 되어 1977년 황도구(黃島區)를 설립하고 창위지구(昌濰地區)에 속하였다. 1978년 교남(膠南), 교현(膠縣)과 황도구(黃島區)는 청도시(青島市)에게 속하게 되었다. 이 때에 창위지구(昌濰地區)는 위방시(濰坊市)(현급), 익도(益都), 창락(昌樂), 안구(安丘), 임구(臨朐), 유현(濰縣), 수광(夀光), 창읍(昌邑), 고밀(高密), 제성(諸城), 오련(五蓮), 평도(平度)를 관할하였다.
1981년 7월에 창위지구(昌濰地區)는 유방지구(濰坊地區)로 이름을 바꾸었다.
1983년 10월에 산동성에 직할한 도시로 위방시가 설립되었다. 그리고 평도현(平度縣)은 청도시에 속하게 되어 위방시에 위성(濰城), 한정(寒亭)과 방자(坊子) 3개의 구가 설치되었다. 그리고 익도(益都), 수광(夀光), 창락(昌樂), 임구(臨朐), 창읍(昌邑), 고밀(高密), 안구(安丘), 제성(諸城)과 오련(五蓮)을 관할하였다.
1986년 3월1일에 익도현(益都縣)을 철폐하고 청주시(青州市) (현급)를 설치하였다. 1987년 7월에 제성현(諸城縣)을 철폐하고 제성시(諸城市) (현급)를 설치하였다.
1992년 12월 7일에 오련현(五蓮縣)이 일조시(日照市)에게 속학게 되었다. 1993년6월, 수광은 현을 없애고 시로 개명되었다.1994년1월, 안구는 시로 개명되었다. 1994년5월, 고실은 시로 개명되었다. 1994년5월, 유성구, 한정구에서 일부 촌을 지출하여 규문구를 새로 설립했다. 1994년6월, 창읍은 시로 개명되었다. 1991년, 웨이팡고신기술산업개발구가 설립되었다. 1995년, 웨이팡빈해경제기술개발구가 설립되었다. 2008년, 협산생태경제발전구가 설립되었다. 2011년, 웨이팡종합보세구가 설립되었다. 현재, 웨이팡시아래 규문, 유성, 한정, 방자 4개구, 청구, 제성, 수광, 안구, 고밀, 창읍 6개 현급시, 임구, 창락 2개 현, 고신, 빈해, 협산, 보세구 4개 경제구를 관할하고 있다. 향후, 웨이팡시 행정구역계획은 기본적으로 확정되었다.